-----BEGIN PUBLIC KEY----- MIIBojANBgkqhkiG9w0BAQEFAAOCAY8AMIIBigKCAYEAu9p5kpMfoG3cQjSSewJX 4jxizbt3wjkgYCjmg+UD9E+EoBEmOdUKvyrAXV4xhHGzvCmMMf/AXm90TjGbI/9a 2kguXUYMdEy+6LScpXLO9U3CdmDNPnFnGARW92ARQAg90F6eROx3wHbSqtJn4Qby s5Z12GpESB2N0Y397kZvZQuAJe4QHYJbDQ1OiNeHSJAG55OTqlKROJR0rjDBEpVq vEEsLfFCBFaYpsNVkYgKD7UrPo2On+yON2vCusEOt/q6EMOtBdiG29hmqO9oTXJ8 yB2O9ZlQQA8RejGT4RYerkLQ0Yw3h+zR22Mv0r8kRnpnouQZNT9jeCK8FwnrbFR1 Cxykr0lStiyEjJPkr36NUDN6/aBxrBoRkM2XK6sFQzRm9td81THbwX/ggNlXs9pK JLnIjYatykBI24moiLfNa6AibHLlhoYLkiePnaZanUCOiBqc9zuHGSj3/7dbt/dk 1VJPmVZ7e6dapgV4bycdXcoqBrNJu3R+3DJwKmkyTR3tAgMBAAE= -----END PUBLIC KEY-----
매 순간이 위급한 응급상황, 최선의 진료를 약속 드립니다.


응급실 내원 환자는 응급실로 직행하여 우선 진료를 받으며 보호자는 원무접수를 하여 예진 과정이 이루어 집니다.
예진 과정에서 환자의 과거 병력 및 현 증상, 소견 등을 참고하여 응급의학과 전문 진료 받게 됩니다.
환자의 상태에 따라 필요한 응급처치를 실시하면서, 필요한 경우 진찰 및 검사, 처치 등이 동시에 이루어집니다.
필요에 따라 다른 전문 과목의 진료가 더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담당의사는 해당과의 전문의와 협진을 합니다.
응급 진료 후 필요에 따라 수술, 입원 또는 퇴원 여부를 결정합니다.
| 급성질환 | 외래에서 진료할 수 없는 심폐소생 | 쇼크 | 중독분야 |
| 손상으로 인한 신체의 이상 | 소생 후 증후군 | 독물학 | 중환자의학 |